정수 자료형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공간이며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사용, 이와 같은 형태를 자료형 혹은 데이터 형(data type)크게 정수형, 실수형으로 구분 같은 정수형이라도 메모리 저장 공간 크기에 따라 char, short, int, long, long long으로 구분, 물론 크기가 큰 자료형이 더 많은 범위의 값을 저장 가능ex) char형은 크기가 1바이트로 8비트, 즉 -128 ~ 127의 값을 저장가능컴파일러는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모든 문자를 0 ~ 127 사이의 정수(아스키코드)로 바꾸어 처리하므로 char형 변수를 사용하면 문자를 가장 효과적으로 저장가능#include int main(void){ char ch1 = 'A'; //문자로 초기화..
변수변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형태를 사용정수 - int, 실수 - double, 문자&문자열 - char1 . 변수 선언 방법int(자료형) a(변수명);a = 10;int형 변수 선언변수를 선언하면 메모리에 저장 공간이 생기는데, 처음 선언 시 쓰레기 값(garbage value)이 들어있음. 이를 초기화 하는 과정이 필요코드 블럭 2행에서의 '=' 기호는 대입 연산자, 이는 오른쪽 값을 왼쪽에 저장(할당)한다는 의미변수 선언 이후에는 변수명으로 값을 저장하고 연산하거나 출력에 사용가능#include int main(void){ int a; //int형 변수 a 선언 int b, c; //2개의 int형 변수 b,c를 동시에 선언 double d..
Chapter 2 - 상수와 데이터 출력상수와 데이터 표현 방법상수값이 정해져 있고, 변하면 안 되는 경우에 사용하는 데이터의 형태 1. 정수 상수 표현법기본적으로 아라비아 숫자 0 ~ 9, +, -, 기호를 사용10진수, 8진수, 16진수로 표현할 수 있음8진수는 숫자 0, 16진수는 0x를 앞에 붙여서 구분ex) 10진수 숫자 12는 8진수 - 014, 16진수 0xc로 표현#include int main(void){ printf("%d\n", 12); //10진수 정수 상수 printf("%d\n", 014); //8진수 정수 상수 printf("%d\n", 0xc); //16진수 정수 상수 return 0;} 2. 실수 상수 표현실수는 소수점 형태..
(꾸벅)혼자 공부하는 C언어 개정판을 보고 공부한 점을 정리하는 글입니다.아무 생각 없이 정리하는 글이라 알아보기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점 양해 바랍니다. 저는 Mac 환경에서 공부하는지라 Visual Studio를 사용하지 않고 VSCod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초기 설정은 Youtube와 구글링을 활용했습니다.Chapter 2 - 상수와 데이터 출력2 - 1 : 데이터 출력 방법1.함수일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 단위간단한 프로그램의 경우 main 함수 하나만으로 만들기도 함/* 10 + 20의 프로그램 출력되는 건 없음 */int main(void){ 10 + 20; return 0;}2. main 함수 구조main 함수는 머리(head)와 몸통(body)로 구성머리는 함수 원형(funct..
(꾸벅)혼자 공부하는 C언어 개정판을 보고 공부한 점을 정리하는 글입니다.아무 생각 없이 정리하는 글이라 알아보기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점 양해 바랍니다. 저는 Mac 환경에서 공부하는지라 Visual Studio를 사용하지 않고 VSCod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초기 설정은 Youtube와 구글링을 활용했습니다.Chapter.1 - 프로그램 만들기C언어의 장점시스템 프로그램 가능이식성을 갖춘 프로그램 - 기종이 다른 컴퓨터에서도 작동함수 사용으로 개별 프로그래밍 가능컴파일소스 파일(Source file)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의미함컴파일(Compile)소스파일을 기계어로 바꾸는 과정디버깅(Debugging)에러를 수정하는 것/** Be Happy를 출력하는 프로그램*/#include int m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