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 변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형태를 사용
- 정수 - int, 실수 - double, 문자&문자열 - char
1 . 변수 선언 방법
int(자료형) a(변수명);
a = 10;
- int형 변수 선언
- 변수를 선언하면 메모리에 저장 공간이 생기는데, 처음 선언 시 쓰레기 값(garbage value)이 들어있음. 이를 초기화 하는 과정이 필요
- 코드 블럭 2행에서의 '=' 기호는 대입 연산자, 이는 오른쪽 값을 왼쪽에 저장(할당)한다는 의미
- 변수 선언 이후에는 변수명으로 값을 저장하고 연산하거나 출력에 사용가능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a; //int형 변수 a 선언
int b, c; //2개의 int형 변수 b,c를 동시에 선언
double da; //double형 변수 da 선언
char ch; //char형 변수 ch 선언
a = 10; //int형 변수 a에 정수 10 대입
b = a; //int형 변수 b에 변수 a의 값 대입
c = a + 20; //int형 변수 c에 변수 a의 값과 정수 20을 더한 값 대입
da = 3.5; //double형 변수 da에 실수 3.5 대입
ch = 'A'; //char형 변수 ch에 문자 'A' 대입
printf("변수 a: %d\n", a);
printf("변수 b: %d\n", b);
printf("변수 c: %d\n", c);
printf("변수 da: %.1lf\n", da);
printf("변수 ch: %c\n", ch);
return 0;
}
- 변수 선언과 대입 규칙
- 중괄호의 블록'{ }' 안에 변수를 선언하며 선언한 위치부터 블록 끝까지 사용 가능
- 변수의 자료형이 같으면 동시에 둘 이상의 변수 선언 가능(6행)
- 앞에서 선언한 변수와 같은 이름은 사용 불가
- 대입 연산자는 왼쪽의 변수에 오른쪽 값을 저장
- 변수는 대입 연산자 왼쪽(l-value)에서는 저장공간, 오른쪽(r-value)에서는 값이 됨.
'C언어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공부] 실수 자료형 (0) | 2024.07.09 |
---|---|
[C언어 공부] 정수 자료형 (0) | 2024.07.09 |
[C언어 공부] Chapter 2 - 2 (0) | 2024.07.01 |
[C언어 공부] Chapter 2-1 (0) | 2024.06.24 |
[C언어 공부] Chapter 1 (0) | 2024.06.19 |